반응형
안녕하세요. !! 아재상식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도심 공동화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도심 공동화
도심 공동화 현상은 도시가 성장하면서 중심지의 땅값이 오르면서 주택은 도심의 외각으로 이동하고 상업시설만 남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사실 이단계를 지나 상업시설도 노후하게 되면 도시 재생사업을 할수 밖에 없는 상황을 맞아하게 됩니다.
2. 젠트리피케이션 이란 ?
젠트리피케이은 낙후된 도심을 재생사업을 통해 고급주택과 대형 문화 상업시설이 들어서게 되는 문제는 원주민들은 그곳에 있지 못하고 떠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젠트리피케이션이라고 이름을 붙혀 졋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심 공동화의 차이점은 도심 재생사업 [ 재건축, 재개발 ] 을 하지 않았나?, 했나? 가 차이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나올수 있고 아니고의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다른 문헌의 요약된 설명 인용 " 출처 : 1일1페이지 부자수업 "
젠트리피케이션 (gentrification)은 지주계급 또는 신사계급을 뜻하는 젠트라(gentry)에서 파생된 용어로,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처음 사용했다.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물론 다양한 기능들이 도시로 집중되면서 많은 불편 한 문제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 중심부 주거지역에 거주하던 사람들은 좀 더 쾌적한 삶을 위해 도시 외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도시 외곽지역은 자본이 집중투자되며 발전해나가는 반면, 도시 중심부는 도시 외곽으로 이 주할 능력이 없는 저소득층 사람들만 남게 되어 점차 낙후하게 된다.
이를 가리켜 도시 교외화 현상이라고 한다. 하지만 낙후된 도심의 기능을 살리기 위한 도시재생사업과 재 개발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도시는 점차 활기를 띠게 되고,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 1 다시 몰리면서 도시 중심부는 고급 상업 및 주거지역으로 탈바꿈한다.
이러한 과정 속 에서 부동산 가격이 치솟고 자연스럽게 월세 등 주거비용은 점차 상승하여 원래 거주자 였던 저소득층 사람들은 이를 감당하지 못하고 다른 지역으로 쫓겨나게 된다.
이러한 현 상을 '젠트리피케이션'이라고 부른다.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홍대, 서촌, 경리단길, 가로수길 등 뜬다는 상권을 중 심으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저렴한 임대료를 보고 입주한 특색 있고 아기자기한 상가들이 하나둘 늘어나면서 입소문을 타고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유동인구 가 늘어남에 따라 상권이 활성화되고 부동산 가치가 오르게 되었다.
건물주들은 높아진 부동산 가격을 근거로 임대료를 올리는 탓에 이를 감당하지 못한 기존 상인들은 결국 재 계약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기존 상권을 활성화시켜 부동산의 가치를 올리는 데 일등 공신이었던 상인들은 쫓겨나고 결국 건물주만 이익을 보는 현실 때문에 젠트리피케이션 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심화될수록 건물주 역시 손 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대표적인 예가 90년대 서울에서 가장 핫한 거리로 명성을 날 리던 압구정 로데오 거리의 몰락을 들수 있다.
사람들이 몰리고 장사가 잘되자 건물주들 은 임대료를 계속해서 올렸고, 이를 견디지 못한 가게들은 신사동 가로수길 등 임대료가 싼 지역으로 대거 이탈하기 시작했다.
이들을 대신해 자본력을 갖춘 대형 프랜차이즈가 하나둘 거리에 채워졌지만 이로 인해 지역 상권의 특색도 사라졌고 거리는 점차 활력을 잃어 사람들의 발길이 서서히 줄어들면서 상권 역시 붕괴되었다.
이제 압구정 로데오 거리에는 화려했던 옛 명성만 남게 된 것이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도심 공동화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 인용도서 구경하기 ]
https://link.coupang.com/a/r4p1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