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LF라고 하면 용어가 어려운데요.
영어로 Equity Linked Fund 라고합니다.
ELF의 용어는 낮설은데 ELS는 익숙할 것입니다.
ELS는 아재상식 블로그에서 이전에 다룬 글이 있습니다.
2020/03/29 - [경제정보] - ELS 원금보장형과 ELS 원금 비보장형 이란 ? ( 주가연계증권 위험성 )
글을 보신 분은 이해가 빠르 실 것입니다.
ELF는 펀드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펀드 투자형태로 가입을 할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래서 은행이나 증권사가 ELS형태로 만들어진 여러 상품을 ELF가 묶음 형태로 일반 투자자들에게 펀드로 판매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ELS에 투자를 하고 싶으면 증권거래계좌가 있어야 하지만,
ELF는 은행이나 증권의 펀드투자 방식으로 거래를 할 수 있어서 쉽게 투자 할수 있지만 거래수수료인 자산운용사의 운영수수료가 부과된 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ELS던 ELF던 고위험 투자방식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반응형
'경제 >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세금과 ETF 수수료는 어떻게 계산되는가? - ETF #2 (0) | 2020.04.12 |
---|---|
ETF 상장지수 펀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 Exchange Traded Fund ) - ETF #1 (0) | 2020.04.12 |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시험은 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민간자격증이다. (0) | 2020.04.01 |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은 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민간자격증이다. (0) | 2020.04.01 |
증권투자권유대행인은 금융투자협회에서 운영하는 민간자격증이다. (0) | 2020.04.01 |
댓글